스킵네비게이션

기업훈련지원사업BUSAN hrd

사업안내

일학습병행

사업개요

  • 기업이 일반 근로자를 채용, 일을 담당하게 하면서 교육훈련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핵심인재로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
  • 기업현장에서 현장훈련(OJT)을, 공동훈련센터에서 현장외훈련(Off-JT)을 진행하여 현장중심으로 근로자를 양성

일학습병행 유형

정보 제공
구분 주요 내용
명칭 훈련대상
재학생 단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특성화고 재학생(2∼3학년)
전문대 재학생 단계 전문대 재학생(최종학년)
IPP형 일학습병행 4년제 대학 재학생(최종학년)
재직자 단계 재직자형 채용예정자 및 2년 이내 입사자
P-TECH 특성화고 졸업생

참여기업 요건

  •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기업 중 기술력을 갖추고 CEO의 인력양성 의지가 높은 기업
  • 고용보험료 체납 혹은 임금 체불이 없는 기업, 산재 다발 기업 참여 불가
  • 체계적, 장기적 훈련이 필요한 직무를 수행하는 기업

참여기업 혜택

  • 훈련비 등 재정적 지원
  • 병역 특례업체 지정 가점(병무청)
  • 물품구매 등 적격심사 가점(조달청)
  • 클린사업장 선정 심사 10점 가점(산업안전보건공단)

재정적 지원

정보 제공
구분 세부내용
훈련장려금
  • 훈련인원 1명당 연간 240만원
OJT 훈련비
  • 훈련단가×시간×인원×지원율
기업현장교사 수당
  • 연간 400〜1,600만원(훈련인원 수에 따라 차등 지원)
HRD담당자 수당
  • 연간 300만원

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

사업개요

  •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훈련비용의 일부를 지원함으로써 사업주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를 촉진하는 사업

훈련요건

정보 제공
구분 세부내용
지원대상
  • 고용보험가입 사업주
훈련대상
  • 근로자(재직근로자, 채용예정자, 구직자 포함)
지원요건
  • 정해진 수료기준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소요된 비용에 한해서 지원
  • 근로자 개인이 훈련비용을 부담한 경우 지원대상 제외

훈련유형

정보 제공
구분 자체훈련 위탁훈련
훈련진행
  • 사업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
  • 외부 훈련기관에 위탁해서 실시
장점
  • 최초 교육비 지출에 대한 부담 없음
  • 맞춤형 교육 콘텐츠 제작 가능
  • 시스템 및 콘텐츠 별도 구축 필요 없음
단점
  • 운영을 위한 시스템, 콘텐츠 구축과 인력 배치 필요
  • 최초 교육비 전액 지출에 대한 부담
  • 맞춤형 교육 콘텐츠 제작 어려움

지원내용

정보 제공
구분 세부내용
훈련비
  • 직종별 훈련비용 기준단가×훈련시간×훈련수료인원×사업주규모별지원율
훈련수당
  • 채용예정자 및 구직자를 대상으로 월평균 120시간 이상 훈련을 1개월 이상 실시하고 훈련수당을 지급한 경우 월 20만원까지 지급
숙식비
  • 1일 평균 5시간 이상의 훈련을 실시한 경우 식비 1일 3,300원, 숙식비 1일 14,000원까지 지원(1개월 한도: 330,000원)
임금의 일부
  • 유급휴가훈련과정으로 인정받은 과정에 한하여 훈련에 참여하는 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의 일부 지원

기업훈련지원카드(바우처)

  • 사업주훈련 경험이 없는(최근 3년 이내) 우선지원기업이 민간의 우수 훈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양질의 훈련을 저렴한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카드를 발급·지원
  • 지원한도: 500만원, 지원비율: 훈련비 90%(10%는 기업 자부담)

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

사업개요

  • 기업, 사업주단체 등이 다수의 관련 중소기업과 공동훈련 협약을 맺고, 자신이 보유한 훈련시설을 활용하여 참여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맞춤형 훈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가 공동훈련에 필요한 훈련인프라와 훈련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

공동훈련센터 유형

정보 제공
구분 역할 및 기능
대중소상생형
  • 중소기업과 협약을 체결하여 이들 중소기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직업능력개발 지원
전략분야형
  • 특정 산업이나 직종과 관련된 기업과 협약을 체결하여 체계적인 인력양성 및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
기업수요맞춤형
  • 협약기업의 직무분석을 통해 훈련과정을 설계·운영하여 수요자 중심의 근로자 직업능력개발 지원
K-digital Platform
  • 지역 내 공동훈련센터에 디지털 융합 훈련시설·장비를 구축, 지역 중소기업 등이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, 지역 내 중소기업 재직자, 청년 등에게 디지털 융합 훈련 과정 운영